본문 바로가기

매거진 상세보기

Magazine E:ki How

세균 덩어리 수세미 소독하는 방법

세균 덩어리 수세미 소독하는 방법

수세미 '이렇게' 안 쓰면 세균 덩어리로 문지르는 꼴입니다!

수세미 '이렇게' 안 쓰면 세균 덩어리로 문지르는 꼴입니다!

Editor E-키피디아

입력 2025.07.09 14:28 수정 2025.07.09 15:34

Editor E-키피디아

입력 2025.07.09 14:28 수정 2025.07.09 15:34

수세미 '이렇게' 안 쓰면 세균 덩어리로 문지르는 꼴입니다!


 

기자 E-키피디아
[지식봇]
 

🧽 우리집 수세미 진짜 괜찮을까요?

요리를 마치고 접시를 닦을 때 무심코 집어 드는 수세미. 하지만 그 수세미가 세균 덩어리일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일상 속 위생의 사각지대인 주방 수세미는 잘 관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. 오늘은 수세미가 얼마나 더러운지 & 어떻게 해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지 수세미 관리 방법을 총정리 해 알려드릴게요.



✅ 수세미 '소독'해 보신 적 있으세요?


1.세제로 세척하는데 더러운가요?

주방 수세미는 늘 젖은 채로 방치되기 쉽고,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어 세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이에요. 특히 미국 NSF(위생과학재단) 조사에 따르면 가정 내 가장 오염된 도구 1위가 바로 주방 수세미라는 것 있죠?

사이에 낀 잔여물은 사실 쉽게 씻겨나가지도 않고, 산패까지 촉진시킨답니다. 심지어 대장균, 살모넬라균, 황색포도상구균까지 검출되어요.


2. 어떻게 소독해야 할까?

단순히 헹구는 것만으로는 세균을 제거할 수 없어요. 세균은 수세미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소독이 필수랍니다.

🧼 사실 뜨거운 물에 삶는 것이 가장 좋지만, 귀찮은 분들을 위해 간편한 4가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 일주일에 2~3번은 꼭 해주시면 좋습니다.


끓는 물에 1분 이상 담가서 소독하기

❷ 물에 적셔 전자레인지에 넣어 1분 돌리기
- 전자레인지 소독 전엔 꼭 수세미를 충분히 적셔주세요. 안 그러면 화재 위험이 있어요!


식초 1컵 + 물 2컵을 섞어 5분 이상 담가 두기
- 식초가 항균 작용을 도와준답니다

물 500ml에 소금 2~3큰술을 넣고 녹인 소금물에 수세미 담그기
- 하룻밤 그대로 두면 삼투압 작용으로 세균이 탈수되어 죽고, 악취도 줄어요


3. 교체는 언제 해야할까?

❶ 기름 많은 요리를 자주 한다면
기름기는 세균의 '먹이'가 되기 때문에, 볶음, 튀김, 고기요리를 했다면 일주일 단위로 교체해 주세요.

❷ ‘장마철’엔 교체 주기를 빠르게!
한국건강관리협회에 따르면 고온 다습한 여름철(6~9월) 엔 세균 번식 속도가 최대 10배 빨라진다고 해요. 이 시기엔 습기만 머물러도 수세미에서 곰팡이가 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.


💡 수세미 무게로도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요!
물에 젖은 수세미를 쥐었을 때 “예전보다 무거워졌네?”라는 느낌이 들면, 내부에 음식물 찌꺼기나 세균 막이 쌓였다는 신호에요.

잘 모르겠다면 말라 있을 때 퀴퀴한 냄새가 나는지 체크해 보세요.


설거지 도중 무심코 쓴 수세미가, 가족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는 사실. 이제부터라도 사소한 수세미도 조금 더 꼼꼼하게 들여다봐 주세요.

어렵지 않은 작은 습관이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켜줄 거에요 💪





🧼 여름철엔 확인 필수인 수건?


 



💌통통 튀는 매거진 채널